-
올해 6월부터 모집 예정인 청년도약계좌의 가입조건과 이자 및 혜택 등을 알아보고 2022년에 진행한 청년희망적금과는 다른 점이 무엇인지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만 19~34세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지원하는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
월 70만 원을 5년간 납입하면 만기 시 최대 5,000만 원의 목돈을 만들어주는 것이 청년도약계좌의 핵심으로 5년간 의무 가입해야만 정부 지원과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가입기간: 5년
- 청년 부담금: 매월 40 ~ 70만 원
- 정부 기여금: 매월 3 ~ 6% 납입금 비례 지원
- 은행이자: 6월 공지 예정
- 이자소득 비과세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 만 19 ~ 34세 청년
- 개인소득 7,500만 원 이하
-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청년도약계좌 이자 및 혜택
청년도약계좌는 개인소득에 따라 정부에서 지원하는 기여금이 차등으로 지급되며, 이자소득에 대해서는 비과세 혜택이 적용됩니다.
개인소득이 3,600만 원인 청년이 월 50만 원씩 5년간 납입하였다면, 5년 뒤에 받을 수 있는 정부 기여금은 1,380,000원(23,000원 × 12개월 × 5년)이 되겠습니다.
정부 기여금만 생각한다면 생각보다 적은 금액이 지원된다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향후 적용될 은행이자와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를 생각해 본다면 5년 뒤에 받는 실수령액은 약 16 ~ 19% 정도의 이자를 적용받는다고 하니 한번 예상 수령액을 계산해 보겠습니다.
※ 5년 만기 기준으로 은행금리 5% 가정 시, 예상 실 수령액 계산 (☞ 은행이자 계산기 바로가기)
- 개인소득 2,400만 원 이하
- 개인소득 3,600만 원 이하
- 개인소득 4,800만 원 이하
- 개인소득 6,000만 원 이하
- 개인소득 6,000만 원 초과
예상 수령액을 계산해 보았을 때, 70만 원을 납입하면서 최대 5,000만 원의 실 수령액을 받기 위해서는 은행금리가 6%는 적용되어야 가능할 거 같습니다.
청년도약계좌 vs 청년희망적금 비교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의 가장 큰 차이는 만기일과 정부 기여금이 아닐까 생각하는데요.
만기 시에 최대 36만 원이 1회 지급되는 청년희망적금과는 달리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정부 기여금이 지급되므로 청년들에게 좀 더 혜택이 돌아갈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중복가입은 불가하므로 청년희망적금 만기 후, 청년도약계좌 순차가입 추천
정부에서 청년도약계좌를 위해 예산을 3,678억 편성하였고, 이를 계기로 청년들을 위한 연계지원을 확대해 나간다고 하니 혜택 잘 챙기시길 바라겠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반지하, 고시원 등 주거취약계층 이사비용 지원 (0) 2023.03.12 2023년 저소득층 벽걸이 에어컨 무상지원 대상 안내 (0) 2023.03.11 수원 취업준비청년 면접정장 무료 대여서비스 안내 (ft. 청나래) (0) 2023.03.09 신용점수 올리는 7가지 방법 (0) 2023.03.08 24시간 당일승인 최저금리 3.9% 근로자대출 (0) 2023.03.08